# NestJS 란?
-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Node.js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
- 프로그레시브 JavaScript를 사용하고 TypeScript로 빌드되고 완벽하게 지원하며 (개발자가 순수 JavaScript로 코딩 할 수 있음) OOP (Object Oriented Programming), FP (Functional Programming) 및 FRP (Functional Reactive Programming) 요소를 사용할수있 게 해줍니다.
# NestJS 시작하기
1. Nodejs 설치 (v16.15.0)
2. NestJS CLI 설치하기
npm i -g @nestjs/cli
nest new project-name // nestjs 프로젝트 만들기
# 프로젝트 시작하기
1. 프로젝트 시작할 폴더 생성
- 폴더 만들기 nestjs-board-app
2. 폴더 안에서 nest 기본 구조 생성
$ cd nestjs-board-app
$ nestjs-board-app> nest new ./
package -> npm 선택
3. VSCode 에서 폴더 열기
- eslintrc.js : 개발자들이 특정한 규칙을 가지고 코드를 깔끔하게 짤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, 타입 스크립트를 쓰는 가이드라인 제시, 문법에 오류가 나면 알려주는 역할 등등
- prettierrc.js : 주로 코드 형식을 맞추는데 활용, 작은 따옴표(')를 사용할지 큰 따옴표(")를 사용할지, indent 값을 2로 줄지 4로 줄지 등등 에로를 찾는 것이 아닌 코드 포맷터 역할을 한다.
- nest-cli.json : nest 프로젝트를 위해 특정한 설정을 할 수 있는 json 파일
- tsconfig.json : 어떻게 타입스크립트를 컴파일할지 설정
- tsconfig.build.json : tsconfig.json의 연장선 파일이며 "excludes"에서는 빌드할 때 필요 없는 파일들을 명시
- package.json : build는 운영환경을 위한 빌드, format은 린티에러가 났을 시 수정, start는 앱 시작
- src 폴더 : 대부분의 비즈니스 로직이 들어가는 곳
- main.ts는 앱을 생성하고 실행하는 곳,
- app.module.ts는 앱 모듈을 정의하는 곳
4. 실행하기
$nestjs-board-app> npm run start:dev
'Node.js > Nest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stJS] 회원가입 기능 구현 (0) | 2022.10.11 |
---|---|
[NestJS] NestJS, TypeORM, MySQL에 연결하기 (0) | 2022.10.10 |
[NestJS] Nest의 미들웨어(Middleware) (0) | 2022.10.10 |
[NestJS] Controller에서 Request를 받는 방법 (0) | 2022.10.09 |
[NestJS] NestJS 로직 흐름 / Module, Controller, Service 자동 생성 (0) | 2022.10.09 |